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1 클라이맥스 27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njpw.co.jp/g1-27-logo-1-664x373.jpg
대회명G1 클라이맥스 27
G1 Climax 27
주최신일본 프로레슬링
New Japan Pro Wrestling
스폰서로손 티켓(ローソンチケット)
중계파일:신일본 월드2.png[1]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2] 파일:사무라이 tv.png[3]
일정2017년 7월 17일 ~ 8월 13일
장소파일:일본 국기.svg 홋카이도, 도쿄, 후쿠시마, 미야기, 니가타, 아이치, 기후,
가고시마, 후쿠오카, 에히메, 오사카, 시즈오카, 카나가와 등
공식 홈페이지
G1 클라이맥스 26G1 클라이맥스 27G1 클라이맥스 28
1. 개요
2. 대회 방식
3. 참가 선수
3.1. A조
3.2. B조
4. 주요 개최지 및 대진표
5. 순위
5.1. A조
5.2. B조
6. 결승전


1. 개요[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주최하는 27번째 G1 클라이맥스 대회이며 7월 17일부터 8월 13일까지 열린다. 이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하는 선수는 차기년도 레슬킹덤에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할 권리가 주어진다.[4]


2. 대회 방식[편집]


20명의 선수가 각각 A조와 B조에 10명씩 배정되어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대결을 펼치며 경기당 승리를 하게 되면 승점 2점을, 시간 제한[5] 등으로 무승부를 기록하게 될 때에는 각각 승점 1점씩 나눠가진다. 이런 식으로 모든 경기를 끝냈을 때 각 조의 1등을 차지한 선수가[6] 시간무제한 결승전을 가져 승리한 선수가 최종 우승자가 된다.


3. 참가 선수[편집]



3.1. A조[편집]




3.2. B조[편집]




4. 주요 개최지 및 대진표[편집]


일시장소관중수대진표
7월 17일홋카이도 도립 종합 체육 센터 홋카이 키타에루6,189A조나가타 유지 vs. YOSHI-HASHI
마카베 토우기 vs. 배드 럭 파레
고토 히로오키 vs. 이시이 토모히로
타나하시 히로시 vs. 잭 세이버 주니어
이부시 코타 vs. 나이토 테츠야
7월 20일도쿄 코라쿠엔 홀1,741B조코지마 사토시 vs. 쥬스 로빈슨
마이클 엘긴 vs. 타마 통가
SANADA vs EVIL
오카다 카즈치카 vs. 야노 토루
스즈키 미노루 vs. 케니 오메가
7월 21일1,728A조나가타 유지 vs. 고토 히로오키
마카베 토우기 vs. 이시이 토모히로
이부시 코타 vs. 잭 세이버 주니어
타나하시 히로시 vs. 배드 럭 파레
YOSHI-HASHI vs. 나이토 테츠야
7월 22일1,737B조코지마 사토시 vs. 야노 토루
쥬스 로빈슨 vs. EVIL
스즈키 미노루 vs. SANADA
케니 오메가 vs. 타마 통가
마이클 엘긴 vs. 오카다 카즈치카
7월 23일도쿄 마치다 종합 시립 체육관4,598A조YOSHI-HASHI vs. 잭 세이버 주니어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가타 유지
배드 럭 파레 vs. 나이토 테츠야
이부시 코타 vs. 이시이 토모히로
마카베 토우기 vs. 고토 히로오키
7월 25일후쿠시마 빅 팔레트 후쿠시마2,500B조코지마 사토시 vs. 마이클 엘긴
타마 통가 vs. EVIL
쥬스 로빈슨 vs. 스즈키 미노루
야노 토루 vs. 케니 오메가
오카다 카즈치카 vs. SANADA
7월 26일미야기 샌다이 선 플라자 홀2,593A조이시이 토모히로 vs. YOSHI-HASHI
잭 세이버 주니어 vs. 배드 럭 파레
마카베 토우기 vs. 이부시 코타
나가타 유지 vs. 나이토 테츠야
타나하시 히로시 vs. 고토 히로오키
7월 27일니가타 아오레 나가오카2,821B조쥬스 로빈슨 vs. 타마 통가
야노 토루 vs. SANADA
스즈키 미노루 vs. EVIL
코지마 사토시 vs. 오카다 카즈치카
마이클 엘긴 vs. 케니 오메가
7월 29일아이치 현 체육관6,327A조마카베 토우기 vs. 나가타 유지
이부시 코타 vs. 배드 럭 파레
고토 히로오키 vs. 잭 세이버 주니어
타나하시 히로시 vs. YOSHI-HASHI
이시이 토모히로 vs. 나이토 테츠야
7월 30일기후 산업 회관2,452B조야노 토루 vs. EVIL
스즈키 미노루 vs. 타마 통가
마이클 엘긴 vs. SANADA
코지마 사토시 vs. 케니 오메가
쥬스 로빈슨 vs. 오카다 카즈치카
8월 1일가고시마 아레나3,418A조YOSHI-HASHI vs. 배드 럭 파레
마카베 토우기 vs. 잭 세이버 주니어
나가타 유지 vs. 이시이 토모히로
고토 히로오키 vs. 나이토 테츠야
타나하시 히로시 vs. 이부시 코타
8월 2일후쿠오카 시민 체육관3,216B조쥬스 로빈슨 vs. SANADA
마이클 엘긴 vs. 야노 토루
코지마 사토시 vs. 스즈키 미노루
오카다 카즈치카 vs. 타마 통가
케니 오메가 vs. EVIL
8월 4일에히메 아이템 에히메2,130A조나가타 유지 vs. 이부시 코타
이시이 토모히로 vs. 배드 럭 파레
고토 히로오키 vs. YOSHI-HASHI
나이토 테츠야 vs. 잭 세이버 주니어
타나하시 히로시 vs. 마카베 토우기
8월 5일오사카 에디온 아레나 오사카5,490B조야노 토루 vs. 타마 통가
코지마 사토시 vs. SANADA
마이클 엘긴 vs. 스즈키 미노루
쥬스 로빈슨 vs. 케니 오메가
오카다 카즈치카 vs. EVIL
8월 6일시즈오카 액트 시티 하마마츠3,567A조나가타 유지 vs. 잭 세이버 주니어
이부시 코타 vs. YOSHI-HASHI
고토 히로오키 vs. 배드 럭 파레
마카베 토우기 vs. 나이토 테츠야
타나하시 히로시 vs. 이시이 토모히로
8월 8일카나가와 요코하마 문화 체육관4,761B조코지마 사토시 vs. 타마 통가
쥬스 로빈슨 vs. 야노 토루
마이클 엘긴 vs. EVIL
케니 오메가 vs. SANADA
오카다 카즈치카 vs. 스즈키 미노루
8월 11일도쿄 료고쿠 국기관7,495A조[a]나가타 유지 vs. 배드 럭 파레
마카베 토우기 vs. YOSHI-HASHI
이시이 토모히로 vs. 잭 세이버 주니어
이부시 코타 vs. 고토 히로오키
타나하시 히로시 vs. 나이토 테츠야[8]
8월 12일7,591B조[a]마이클 엘긴 vs. 쥬스 로빈슨
타마 통가 vs. SANADA
야노 토루 vs. 스즈키 미노루
코지마 사토시 vs. EVIL
오카다 카즈치카 vs. 케니 오메가[9]
8월 13일10,280-결승전
나이토 테츠야 vs. 케니 오메가[10]


5. 순위[편집]


아래 상황판의 가로 열에는 본선수를, 세로 열에는 상대 선수를 기입한다.
본선수가 상대 선수를 상대로 승리 하였을 경우에는 O, 패배 하였을 경우에는 X 표시를 하고 무승부를 기록할 경우 △로 표시한다.


5.1. A조[편집]


순위선수승점
1나이토 테츠야14
2타나하시 히로시12
2배드 럭 파레12
4이부시 코타10
4잭 세이버 주니어10
4고토 히로오키10
7이시이 토모히로8
7마카베 토우기8
9YOSHI-HASHI4
10나가타 유지2

A조타나하시마카베나가타고토이시이YOSHI-HASHI파레나이토이부시
타나하시/XXXXXXOOO
마카베O/XXOXOOOX
나가타OO/OOOOOXO
고토OOX/XXOOXX
이시이OXXO/XOXOO
YOSHI-HASHIOOXOO/XOOO
파레OXXXXO/XOX
나이토XXXXOXO/XX
XXOOXXXO/O
이부시XOXOXXOOX/
승패6승 3패4승 5패1승 8패5승 4패4승 5패2승 7패6승 3패7승 2패5승 4패5승 4패
승점12점8점2점10점8점4점12점14점10점10점


5.2. B조[편집]


순위선수승점
1케니 오메가14
2오카다 카즈치카13
3EVIL12
4스즈키 미노루9
5SANADA8
5마이클 엘긴8
5야노 토루8
5쥬스 로빈슨8
5타마 통가8
10코지마 사토시2

B조코지마엘긴로빈슨오카다야노오메가타마스즈키SANADAEVIL
코지마/OOOOOOOXO
엘긴X/OOOXOXOX
로빈슨XX/OXXOOOO
오카다XXX/XOXXO
야노XXOO/OXXOO
오메가XOOXX/XXXX
타마XXXOOO/OXO
스즈키XOXOOX/XO
SANADAOXXOXOOO/X
EVILXOXXXOXXO/
승패1승 8패4승 5패4승 5패6승 2패 1무4승 5패7승 2패4승 5패4승 4패 1무4승 5패6승 3패
승점2점8점8점13점8점14점8점9점8점12점


6. 결승전[편집]


파일:G127우승.jpg
결승전
A조 1위B조 1위
나이토 테츠야케니 오메가
우승자: 나이토 테츠야(34분 35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5:45:42에 나무위키 G1 클라이맥스 2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 경기 생중계.[2] 개막전과 리그 최종전을 포함한 일부 대회 생중계.[3] 일부 대회 생중계[4] 단, G1 우승 후 경우에 따라 레슬킹덤까지의 기간 사이에 권리증 방어전을 가져야 할 때도 있다. 이 경우 만약 방어전에서 패배할 시 상대 선수에게 도전 권리가 넘어간다. 권리증 소유자에게(우승자에게) 도전할 자격은 주로 리그 예선에서 소유자에게 승점을 따낸 선수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진다.[5] 조별 풀리그의 경우에는 30분의 시간 제한이 있다.[6] 최다 승점을 기록한 선수가 조 1위가 되는데, 승점 동률의 상황이 나올 경우에는 승자승 원칙에 따른다. 예를 들어, A조의 예선이 다 끝났는데 A조의 a 선수와 b 선수가 승점 10점으로 동점이라면, 분명 a와 b는 서로 한 번 경기를 가졌을 터이다. 그 경기에서 a가 이겼다면 a가 b를 누르고 결승에 진출한다.[7] 나가타 유지 본인의 마지막 G1출전이라고 선포한다.[a] A B 경기 순서는 당일까지의 승점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8]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5성을 매겼다.[9]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6성을 매겼다. 이는 지난 레슬킹덤 11 이후에 두번째 6성 경기이다. 참고로 두 선수의 맞대결 중 최고 평점은 지난 도미니언 6.9 in 오사카-조 홀에서 나온 7성이다.[10]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5.75성을 매겼다.